📗
FINEX 재무지표 용어집
  • 📊"숫자로 읽는 성공, 재무지표의 비밀"
  • KPI 분석
    • COVER
    • AI 재무스냅샷©
      • 손익항목:월간평균치
      • 현금성_제조경비
      • 타계정대체
      • 현금성_공사경비
      • 판매관리비
      • 순이자비용
      • 유효법인세율
      • 당기순이익
      • 매출_년간환산
      • 매출-당좌자산비율
      • 현금성자산
      • 매출채권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
      • 영업부채율
      • 차입율
      • 유보이익율
      • 유보이익
      • 재무레버리지율
      • ROE(Return On Equity)
    • 재무개요
    • 자금 및 단기재무현황
    • 판관비분석
    • 원가분석
    • 매출이익율
    • 종업원 1인당 생산성
    • 월간손익계산서
    • 월간재무상태표
  • 현금런웨이
    • 현금런웨이
      • 재고매입
  • 매출채권평균회수기간
    • 매출채권평균회수기간
  • 단기재무현황
    • 당좌자산-월매출비율
    • 당좌자산
    • 현금성자산
    • 이자보상률
    • 현금영업이익(률)
  • 현금흐름
    • 투자활동
    • 재무활동
  • 손익분기점분석(CVP)
    • 손익분기점분석
    • BEP
  • 자산회전률
    • 자산회전률
    • 매출-당좌자산비율
    • 매출채권회전율
    • 재고자산회전율
    • 고정자산회전율
    • 년간환산금액
    • 유무형자산
  • 생산성 : 물적자원
    • 순영업자산
    • 운전자본
    • 순영업고정자산
    • EVA
      • EVA Ratio
  • 재무구조
    • 부채율
      • 영업부채율
      • 차입율
    • 자기자본율
      • 납입자본율
      • 유보이익율
        • 유보이익
    • 자기자본부채비율
  • ROE · ROIC · 차입효과
    • ROA / ROE / ROIC
    • 세후이자비용
    • 차입효과
    • 순차입율
  • 역성장
    • 역성장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이 때 투입된 자원 중 어떤 자원에 촛점을 맞출 것인가?
  • ROA (Return On Asset)
  •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 Return On Net Operating Asset)
  • ROE(Return On Equity)
  1. ROE · ROIC · 차입효과

ROA / ROE / ROIC

Previous자기자본부채비율Next세후이자비용

Last updated 7 months ago

기업은 이익창출을 위해서 자원을 투입한다.

이 때 투입된 자원 중 어떤 자원에 촛점을 맞출 것인가?

전체 자원인 (총)자산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자산 중에 영업목적의 자산으로 제한할 것인가? 또는 자산 중에 주주가 조달해준 부분인 자기자본으로 한정하여 기업의 진정한 존재목적인 "주주부의 극대화(주주 부자만들기)"에 충실할 것인가?

이렇게 초점의 대상인 자원이 결정되면, 평가를 위해서 측정해야 하는 이익은 아래와 같이 자동적으로 결정이 된다.

  • 총자산 → 당기순이익

  • 순영업자산 → 세후영업이익

  • 자기자본 → 당기순이익

ROA (Return On Asset)

전체 자산에 대한 이익율이므로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된다. 과거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이익율 지표이다. 다만, 투자 목적으로 보유한 투자자산이 포함되어 있고 더욱이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조달된 자산까지 계산에 포함 시킴으로써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기는 다소 미흡한 지표이다.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 Return On Net Operating Asset)

ROA가 가진 문제점을 개선한 이익율지표이다. 자산 중에 투자자산과 함께 자본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영업부채까지 제외한 순영업목적의 자산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업이익이 부담해야 할 법인세도 고려함으로써, 자원과 이익 모두 영업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서 기업가치 따라서 주식가치(주가)와 직결된 최적의 경영성과 지표이다.

ROE(Return On Equity)

이 지표는 언듯 보기에는 지분투자자(대주주, VC 등) 들이나 관심을 보일만한 이익율 지표로 보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그렇지 않다. 초인류 기업들의 CFO들이 이 지표를 가지고 기업을 운용하고 있다.

왜 그런가?

지금까지의 모든 주요 지표들, 매출이익율, 자산회전율, ROA, ROIC, 자본구조를 모두 포괄하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ROE를 분해해서 분모와 분자에 동일한 변수(자산, 매출)를 삽입해 보면 알 수 있다. 논리적으로도 기업의 모든 활동은 종국적으로 주주부의 극대화와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finex AI-based Financial Solution 재무관리 솔루션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