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금액 비교 차이 안내

EPR 내 금액과 파이넥스 KPI 분석 금액의 대표적 차이를 설명합니다.

파이넥스는 손익중심의 관점에서 성과평가 및 목표 관리를 지원하며, ERP는 주로 회계 및 원장 데이터 중심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 지표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원인 및 해결 방법

발생 원인
ERP 데이터
파이넥스 데이터
검증 방법

원가 계산 방식 차이

제조원가명세서(총제조비용) 기준

매출원가(COGS) 기준

매출원가 기준으로 원가 비율 조정

비용 배분 차이

사업부별 직접 배분

분석 목적에 맞게 고정비/변동비 조정

원가배분 기준 비교

포함 항목 차이

모든 제조원가 포함

일부 간접비 제외 가능

특정 계정과목 포함 여부 확인

기간 차이

실시간 원장 반영

특정 분석 기간 기준 데이터 제공

ERP와 월간 증감잔액시산표 비교

검증 시 고려할 사항:

  • ERP의 제조원가(총제조비용)와 파이넥스의 매출원가(COGS) 기준 차이

  • ERP 원장 기준 비용 배분 방식과 파이넥스의 원가 분석 방식 비교

  • 특정 계정과목이 ERP와 파이넥스에서 다르게 반영될 가능성 확인

  • 월간 증감잔액시산표를 활용하여 월별 데이터 변동 추적


제조기업일 경우, 원가분석 차이안내

ERP 제조원가명세서와 파이넥스 원가분석의 차이

파이넥스 원가분석 지표는 제조원가명세서와 달리 매출원가(COGS)를 기반으로 비율을 계산한 추정치를 활용합니다.

ERP 제조원가명세서

  • 일반적으로 ERP에서 제공하는 "당기총제조비용"을 기준으로 작성

  • 원재료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제조경비 등을 포함

파이넥스 원가분석

  • 매출에 반영된 매출원가(COGS) 기준으로 원가를 분석

  • 손익 분석 목적으로 원가 구조를 재조정하여 성과 평가에 활용

  • AI 재무스냅샷에 반영되어 매출과 연계된 원가 비율 분석 가능

📌 핵심 차이

  • ERP 제조원가명세서 = 제조공정의 총 비용을 기준으로 작성

  • 파이넥스원가분석 = 실제 매출에 반영된 매출원가를 기준으로 추정


파이넥스 원가분석의 진행방식

1- 제조원가 항목 분류

ERP의 "당기총제조비용"을 다음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합니다.

  • 원재료비

  • 노무비

  • 감가상각비

  • 현금성 제조경비

예제)

과목
금액
비율 (%)

당기총제조비용

1,000

100%

원재료비

450

45%

노무비

200

20%

현금성 제조경비

250

25%

감가상각비

100

10%


2- 원가 비율 계산

각 원가 항목의 비율(%)을 계산하여 매출원가(COGS)에 적용 준비


3- 매출원가(COGS)에 비율 적용

ERP의 제조원가가 아닌 매출원가(550)를 기준으로 위에서 계산된 비율을 적용하여 추정합니다.

예제 (매출원가 550 적용 시)

과목
금액
비율 (%)

제품매출원가

550

100%

원재료비

248

45%

노무비

110

20%

현금성 제조경비

138

25%

감가상각비

55

10%

제조원가명세서 검증 및 시산표 제공 가이드

파이넥스는 전사 기준 제조원가명세서 금액이 포함된 시산표를 제공하여 재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다만, 사업부문별 원가 세분화는 ERP에서 확인해야 하며, 제조원가명세서는 시산표 및 손익계산서를 통해 검증할 수 있습니다.

  1. 전사적 제조원가명세서 포함 시산표 제공

  • 전사 기준 제조원가 포함된 시산표 제공

  • 사업부문별 제조원가 데이터 세분화는 불가

  • 사업부별 원가 관리 및 생산량 대비 원가 분석은 ERP 활용 권장


2. 제조원가명세서 검증 방법

  • 시산표와 손익계산서로 제조원가 검증 가능

  • 추가 지표 없이도 데이터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음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