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자동계산기 사용법

파이넥스의 KPI 예산수립 탬플릿 (회귀모델 적용)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1

KPI (목표)지표 선택하기

예시) 목표 기준을 ROE를 선택합니다.

2

과거 12개월 재무현황 파악하기 - AI 재무스냅샷

예시) 목표 KPI 기준인 ROE를 과거 12개월 간 데이터 기반으로 어떻게 산출되었는지를 파악합니다. 해당 내용을 토대로 어떤 요소가 증감해야 목표 ROE를 달성할 수 있을 지 확인합니다.

3

(우측-파란색) 목표 매출증감 Top-Down 설정하기

목표증감율 또는 목표 매출액을 설정해 입력합니다. (단위을 확인하세요.)

4

목표매출에 따른 KPI (목표)자동 계산하기

과거 12개월 재무 데이터를 학습하여 미래 매출 기준 모든 재무요소와 KPI 목표치를 자동 산출합니다.

예) 최종적으로 KPI 목표치로 설정한 ROE(Return on Equity)를 도출합니다.

5

매월 예산에 따른 세부 재무요소 변경하기

예시) 20XX년 XX월 중 급여 3억 추가 시 산출된 영업이익율 및 ROE 목표수치를 확인합니다.

매출 외 고려할 주요 재무지표(예: 영업이익, 순이익, 비용)를 설정합니다.

급여 예상증가액 입력 시
재무요소 변경 시 변경된 ROE
6

변동비 / 고정비 직접 설정하기

계정과목별로 변동비(Variable Cost)와 고정비(Fixed Cost)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 상황에 맞는 기초 예산 및 시뮬레이션을 보다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변동비 (Variable Cost) 매출(생산/판매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감하는 비용. 예) 원재료비, 외주가공비, 판매수수료

고정비 (Fixed Cost) 매출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 예) 임대료, 급여, 감가상각비

1️⃣ 기본 원칙

  • 시스템 최초 설정 시, 아래 6가지 대표 고정비를 제외한 모든 계정과목은 변동비로 분류됩니다.

  • 변동비는 매출에 비례하여 반영되며, % 단위 수정이 가능합니다.

2️⃣ 변동비 → 고정비 전환

  • 변동비 계정과목에 **금액(원 단위)**을 직접 입력하면, 해당 항목은 자동으로 고정비로 세팅됩니다.

  • 이후부터는 별도의 조정 없이 고정비 성격으로 반영됩니다.

3️⃣ 고정비 → 변동비 재전환

  • 이미 고정비로 전환된 계정과목도, % 입력을 하면 다시 변동비로 되돌아갑니다.

  • 따라서 변동 ↔ 고정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고정비 세부 규칙

고정비 계정과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구분
계정과목 예시
설정 가능 여부

변경불가 고정비

감가상각비(원가), 감가상각비(판관비), 상각비(판관비)

변동비 전환 불가

기본 고정비 (변동비 전환 가능)

세금과공과, 지급임차료, 보험료

변동비로 변경 가능

7

월 단위로 KPI 설정하기

월 단위로예산 (목표치)를 설정하여 매월 KPI 성과관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매월 성과평가가 어렵더라도 실제 원장데이터 업로드 시 매월 비교가 가능합니다.

8

(추가) 업종 추가가능

KPI 예산수립 기간 중 신규 업종이 추가될 경우, 업종을 직접 추가하며 KPI 를 수립합니다.

추가될 업종를 선택하고, 해당 업종이 추가되는(예정) 월을 선택하세요.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