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넥스 가이드북
홈페이지로 이동
  • 파이넥스 가이드북
  • 시작하기
    • 계정생성 및 로그인
    • ERP 데이터 호환/검증
      • ERP별 다운로드 방법
        • SAP FI
        • 기타 ERP 프로그램 (맞춤형)
        • 더존아이유 (ERP-iU)
        • 영림원 ERP (시스템에버)
        • 이카운트 (E-count)
        • 더존 ERP (위하고/스마트A/아이큐브)
        • 뉴젠365/ 세무사랑 Pro 2.0 / 뉴젠케이렙 2.0
        • 얼마에요 ERP / AI얼마경리
      • 원장데이터 업로드
        • 업로드 시 필수 확인사항
      • 계정과목 매칭 및 최적화
        • 회사와 파이넥스 계정과목이 상이한 이유
      • 시산표 데이터 검증
  • 데이터 최적화 컨설팅받기
  • 기능별 안내
    • KPI 분석 (리포트)
      • ERP 금액 비교 차이 안내
      • 사업부성과표 활용방법
    • KPI 재무스냅샷©
    • KPI 예산수립
      • KPI 설정 (관리)
        • KPI 자동계산기 사용법
      • 시나리오별 재무예측
      • 추정재무제표 작성
      • 성과평가 (비교분석)
      • 업적성과표 (보고서)
    • 팀원초대 / 권한설정
      • 권한별 안내
      • 팀원 초대방법
  • 매칭데이터 관리
    • 계정과목별 데이터 조회
    • 매칭 계정과목 수정
  • 에드온 추가기능
    • 대시보드 BI 연동 서비스
  • 계정과목명 커스터마이징
  • 30분 도입미팅하기
  • 파이넥스 자료
    • ERP 금액과 상이한 이유
    • 미수금, 왜 당좌자산이 아닌가요?
    • 유효법인세를 12개월로 나눠 월별로 반영해야 하는 이유
    • 계정과목 추가가 불가능한 이유
    • KPI 관리, 왜 매월해야 할까요?
  • 변동비/고정비 통계분석이란?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 AI 예측의 신뢰도와 개입원칙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기능별 안내
  2. KPI 분석 (리포트)

사업부성과표 활용방법

*원장데이터 내 사업부(Profit Center)별 매출, 비용, 원가 등이 기록되어 있는 고객사들 대상으로만 생성가능한 지표입니다.

FP&A 담당자 및 CFO 입장에서 사업부성과표의 각 지표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면 재무성과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1. 매출 분석 (사업부문별 매출)

  • 핵심 활용법: 매출 규모가 큰 사업부를 식별하여 주요 매출원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 의사결정: 전략적 투자 결정 시 높은 매출을 기록한 사업부 중심으로 자원을 집중하거나, 매출이 낮은 사업부는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습니다.

2. 직접영업이익 및 영업이익률(%)

  • 핵심 활용법: 각 사업부의 직접영업이익률(%)과 최종 영업이익률(%)을 분석하여, 수익성이 뛰어난 사업부를 선정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 규모는 작지만 직접영업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이 높은 "A" 사업부를 파하여더욱 집중 관리하거나 확대할 수 있습니다.

  • 의사결정: 높은 수익률의 사업부에 더 많은 리소스를 배분하거나, 반대로 수익성이 낮은 사업부에 원가 및 비용절감 계획을 수립합니다.

3. 매출원가 구성 (원재료비, 노무비, 현금성경비 등)

  • 핵심 활용법: 원가의 세부 항목을 사업부별로 분석하여 각 사업부의 원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C" 사업부는 원재료비보다 노무비와 현금성경비 비중이 높아, 인건비 관리나 현금 지출 항목에 대한 효율화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 의사결정: 원가 절감 및 원가구조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여, 이익률 개선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4. 판매관리비 및 기타관리비

  • 핵심 활용법: 사업부별 판매관리비의 구성과 규모를 파악하여 불필요한 관리비 지출을 확인하고, 관리비 효율성을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B" 사업부는 판매관리비가 타 사업부 대비 높아 비용통제가 필요한 사업부일 수 있습니다.

  • 의사결정: 판매관리비와 기타관리비 지출이 많은 사업부는 효율성 개선 전략을 수립하거나, 비용 집행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예산 관리 프로세스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5. 간접공통비 배부액 (기본: 매출액 기준으로 배부)

  • 핵심 활용법: 사업부별 간접공통비의 비중을 확인하여 공통비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합니다.

  • 의사결정: 간접비 배부비율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각 사업부의 실질 수익성을 더욱 정확히 측정하고 성과평가 및 보상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CFO 및 FP&A 담당자의 구체적인 액션 플랜

  • 매월 사업부 성과표를 정기적으로 분석하여 이상 징후나 비효율적 사업부를 조기 발견합니다.

  • 전략적 자원 재배분 및 비용 관리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체 기업의 수익성과 현금흐름을 최적화합니다.

  • 각 사업부별 KPI 설정과 성과관리 프로세스 구축의 근거 자료로 활용합니다.

  • 경영진과의 정기 리뷰 및 전략 회의에 본 자료를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렇게 사업부성과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회사의 재무적 성과 관리와 경영전략 수립에 큰 도움됩니다!

PreviousERP 금액 비교 차이 안내NextKPI 재무스냅샷©

Last updated 2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