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부성과표 활용방법
*원장데이터 내 사업부(Profit Center)별 매출, 비용, 원가 등이 기록되어 있는 고객사들 대상으로만 생성가능한 지표입니다.
FP&A 담당자 및 CFO 입장에서 사업부성과표의 각 지표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면 재무성과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1. 매출 분석 (사업부문별 매출)
핵심 활용법: 매출 규모가 큰 사업부를 식별하여 주요 매출원이 무엇인지 파악합니다.
의사결정: 전략적 투자 결정 시 높은 매출을 기록한 사업부 중심으로 자원을 집중하거나, 매출이 낮은 사업부는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습니다.
2. 직접영업이익 및 영업이익률(%)
핵심 활용법: 각 사업부의 직접영업이익률(%)과 최종 영업이익률(%)을 분석하여, 수익성이 뛰어난 사업부를 선정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 규모는 작지만 직접영업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이 높은 "A" 사업부를 파하여더욱 집중 관리하거나 확대할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높은 수익률의 사업부에 더 많은 리소스를 배분하거나, 반대로 수익성이 낮은 사업부에 원가 및 비용절감 계획을 수립합니다.
3. 매출원가 구성 (원재료비, 노무비, 현금성경비 등)
핵심 활용법: 원가의 세부 항목을 사업부별로 분석하여 각 사업부의 원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C" 사업부는 원재료비보다 노무비와 현금성경비 비중이 높아, 인건비 관리나 현금 지출 항목에 대한 효율화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원가 절감 및 원가구조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여, 이익률 개선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4. 판매관리비 및 기타관리비
핵심 활용법: 사업부별 판매관리비의 구성과 규모를 파악하여 불필요한 관리비 지출을 확인하고, 관리비 효율성을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B" 사업부는 판매관리비가 타 사업부 대비 높아 비용통제가 필요한 사업부일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판매관리비와 기타관리비 지출이 많은 사업부는 효율성 개선 전략을 수립하거나, 비용 집행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예산 관리 프로세스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5. 간접공통비 배부액 (기본: 매출액 기준으로 배부)
핵심 활용법: 사업부별 간접공통비의 비중을 확인하여 공통비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합니다.
의사결정: 간접비 배부비율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각 사업부의 실질 수익성을 더욱 정확히 측정하고 성과평가 및 보상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CFO 및 FP&A 담당자의 구체적인 액션 플랜
매월 사업부 성과표를 정기적으로 분석하여 이상 징후나 비효율적 사업부를 조기 발견합니다.
전략적 자원 재배분 및 비용 관리 전략 수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체 기업의 수익성과 현금흐름을 최적화합니다.
각 사업부별 KPI 설정과 성과관리 프로세스 구축의 근거 자료로 활용합니다.
경영진과의 정기 리뷰 및 전략 회의에 본 자료를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렇게 사업부성과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회사의 재무적 성과 관리와 경영전략 수립에 큰 도움됩니다!
Last updated